내적 타당성은 결국 실험결과가 정말 얘(독립변수)때문에 발생한 것이냐에 대한 것이다.
https://whatilearned.tistory.com/54
이러한 내적 타당성에도 종류가 있다.
1. 내용 타당성(측정도구 내용의 대표성, 정확성)
점수 또는 척도가 일반화하려고 하는 개념을 어느 정도 잘 반영해주는가를 의미한다.
연구자가 설계한 측정도구 자체가 측정하려는 개념이나 속성을 제대로 대표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즉, 내용 타당성은 측정도구의 내용이 정말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이나 개념을 잘 담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내용타당성에 대한 평가는 전문가 판단에 의해 이뤄진다.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측정도구를 보고 정말 이 도구가 해당 개념이나 속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2.기준 타당성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다른 측정도구의 결과와 비교할 때 어느정도 관련성이 있는가 상관관계를 본다.
기준 타당성은 또한 2가지로 나뉜다.
예측 타당성은 측정 도구가 미래에 발생할 일을 어느정도 정확하게 예측하는가에 대해서 타당성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수능점수가 미래 직장 연봉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예측하는 경우이다. 이때 수능 점수는 연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된다.
동시 타당성은 작성한 측정도구와 신뢰성이 검증된 측정도구를 비교하는 것이다.
3. 개념 타당성(구성 타당성)
측정에 의해 얻는 측정값 자체보단 속성에 초점을 맞춘 타당성이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요인분석, 수렴타당도와 변별 타당도 검토 등이 있다.
수렴타당도(집중타당도)란 동일한 개념을 서로 다른 측정도구를 통해서 측정한 결과값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이것이 높다는 개념이다.
개념 타당도의 종류로는
- 이해 타당성
- 집중타당성(수렴타당성)
- 판별 타당성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