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을 바꾸기 위해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명제 중 하나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게으르다'는 사실입니다.

'사용자가 알아서 잘 해결할거야'라는 생각은 기획자 또한 인간이기에 게으르다는 점을 보여준다. 사용자도 결국 인간이기에 기획자처럼 게으르다.

우리는 학부모와 영업사원들에게 '원하는 것'만 물어보았지, '문제가 될 수도 있는 점'에 대해서은 묻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리고 어쩌면 '아이들의 특성'에 대해서 잘 아는 영업사원이나 학부모들에게는 너무도 당연한 사실이라 얘기할 기회조차 없었던 것인지도 모릅니다.

문제가 될 수 있는 점을 놓치지 않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사용자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당연히 되어야한다.

소설가는 글쓰기 전에 책의 줄거리를 먼저 구성한다. 반면에 기술 문서를 작성하는 사람들은 종종 키보드 앞에 앉아서 "1. 서론"을 쳐 놓고는 무엇이건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입력해 나가는 방식에 안주하고 만다.
무엇을 말할지 미리 계획하라. 개요를 작성하라. 그리고 자문하라. '이렇게 하면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을 듣는 사람에게 통하는 방법으로 잘 전달할 수 있나?'

반성하게 되는 문장이다. 무슨 내용을 전달할 것인지, 어떻개 구성할 것인지 항상 고민하고 작성하자.

해당 챕터(Topic 7. 소통하라)에서는 해당 문장을 포함해 총 9가지 테크닉을 알려준다. 읽어보고 자신은 어땠는지 반성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완벽하게 훌륭한 프로그램을 과도하게 장식하거나 지나칠 정도로 다듬느라 망치지 말라. 그냥 넘어가고 코드를 현재 상태로 한동안 그대로 놓아두라. 완벽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래도 괜찮다. 완벽해지기란 불가능하다.

1. 과유불급이다. 세상은 변하고 사용자들의 요구사항도 변한다. 완벽한 소프트웨어보단 충분한 소프트웨어가 낫다. 이는 보다 정밀하게 요구사항을 발견하고 분석해야한다는 걸 함축하기도 한다. 그래야 충분할 수 있다.

2. 뭔갈 할 때 괜히 덧붙여 망치지 말자. 가만히 있으라는 말은 아닐테다. 아무튼 괜히 망치지 말자.

3. 완벽하지 않아도 되고 충분하면 된다는 개념은 부담을 덜어준다.

4.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는 게 깨진 창문을 그냥 두자는 의미는 아니다. 망가진 부분은 고치되 충분한 것에 괜히 뭔갈 더하지 말자는 의미이다.

'깨진 창문'을 고치지 않은 채로 내버려 두지 말라. 나쁜 설계, 잘못된 결정, 혹은 형편없는 코드 등이 모두 깨진 창문이다. 발견하자마자 바로 고쳐라. 적절히 고칠 시간이 없다면 일단 판자로 덮는 것만이라도 하라. 불쾌한 코드를 주석 처리 하고나, '아직 구현되지 않았음'이러고 메세지를 표시하고나, 가짜 데이터를 대치해 놓거나 하라. 더 이상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조치든 취하교 여러분이 상황을 잘 관리하교 있음을 보여줘라

깨진 창문이론은 학부생 시절 사회심리학 시간에 알게된 이론이다. 그냥 알고만 있고 활용하지 않은 나를 돌아보게 된다.
그리고 이 이론은 결국 우리 삶 어떤 곳에든 적용될 수 있는 논리라는 걸 알게 됐다.
애초에 깨진 창문을 만들지 말자. 생기더라도 깨진 창문이 있다면 더이상 손상되지 않도록 표시해야 한다. 그래야 더는 망가지지 않는다.

마소 캠퍼스의 "디지털 분석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이란 책을 읽으며 금전 가치 모델이라는 개념을 알게 됐다.

금전 가치 모델이란 쉽게 말해 본인의 기획안이 가져올 효과를 돈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 채널에 광고를 100만원어치 집행하면, 1억원어치의 수익을 얻을 수 있어!"

라고 할까..?

 

이걸 구글 애널리틱스로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목표를 클릭 후

새 목표를 추가하면 된다.

그럼 위와 같이 4가지 유형을 선택해서 목표를 생성할 수 있다.

도착은 특정 URL에 도착하는 게 목표인 경우 선택

같음은 무조건 URL이 하나일 경우, 시작값은 URL 시작값만 같고 나머지 주소는 달라도 괜찮은 경우

시간은 특정 URL에 특정 시간 이상 머무는 게 목표인 경우 선택

세션당 페이지/조회 화면수는 특정 URL에 특정 페이지 개수 이상을 조회하는 게 목표인 경우 선택

이벤트는 특정 URL에 특정 액션을 유도하는 게 목표인 경우 선택

 

그 다음에 나오는 

같음, 시작값, 정규식은

같음은 URL 무조건 똑같을 경우

시작값은 URL 시작값만 같으면 되는 경우

정규식은 GA 잘하는 사람이 쓰는 거 같다..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answer/1116091?hl=ko#matchTypes&zippy=%2C%EC%9D%B4-%EB%8F%84%EC%9B%80%EB%A7%90%EC%97%90-%EB%82%98%EC%99%80-%EC%9E%88%EB%8A%94-%EB%82%B4%EC%9A%A9%EC%9D%80-%EB%8B%A4%EC%9D%8C%EA%B3%BC-%EA%B0%99%EC%8A%B5%EB%8B%88%EB%8B%A4

 

구글 애널리틱스 좌측 하단 "톱니바퀴" 클릭 후

"<> 추적정보" 클릭

"세션 설정"을 클릭한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에서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세션이라하면, 동일한 유저의 방문수를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길이이다.

예를 들어 만약 세션 만료를 1시간으로 했을 경우,

우리 사이트에 유저A가 13시00분 그리고 13시49분에 접속했다면,

유저A는 1회 방문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 사이트에 유저A가 13시00분 그리고 14시01분에 접속했다면,

유저A는 세션 길이에 따라 2회 방문한 것이 된다.

 

세션을 아주 기가 맥히게 설명한 글

https://brunch.co.kr/@growthhackers/6

 

GA에서 세션이란 무엇일까?

GA 야매 스터디 시리즈 #1 | *주의 : GA에 대해 필자는 GA를 만든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내용 중 일부는 틀릴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뻘글을 읽고 싶다면 읽어주시고, 잘못된 내용이

brunch.co.kr

 

구글 애널리틱스 좌측 하단에 톱니바퀴에 들어가면

계좌 설정(영어로 Account Setting)이 나온다

여기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체크체크를 하면

GA가 경쟁사 대비 자사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해당 정보는 바로 잠재고개 > 벤치마킹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영어로 audience > benchmark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