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R : Object + Key Result으로 목표 기반 프레임워크
Object = 목표
- 구성원의 가슴에 불🔥을 지피는 역할. 열정이 식지 않도록 그리고 열정에 불타버리지 않도록 적절하게 불을 지피는(?)것이 중요하다.
- 마치 북두칠성(이정표)
Key Result = 핵심결과
- KR은 1개가 아니다. KR1, KR2, KR3..이렇게 여러 KR이 존재할 수 있다.
- KR은 "할 일"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 목표 기반 프레임워크에서 KR 기반 의사결정이 이뤄진다.
예) "이 일이 KR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 정량적📐이어야 한다.
KR vs Initiative
- KR은 통제불가능한 것이고 Initiative는 통제가능한 것이다.
예) 전월 대비 당월 방문자수 10%p 증가 -> KR
예) 전월 대비 당월 자체 콘텐츠 발행개수 10% 증가 -> Initiative
참고)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390667&memberNo=34904471
'서비스기획, PM, PO > 아티클을 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티클 정리 - 시장분석, 비전, 회고 (0) | 2023.10.11 |
---|---|
PO SESSION: Retention과 AHA Moment (1) | 2023.10.05 |
유통 시장 이슈(FTC 아마존 제소, 아마존-쇼피파이, 알디, 테무, 월마트 AI & 메타버스, 알리 익스프레스) (0) | 2023.10.04 |
PO SESSION: Carrying Capacity (1) | 2023.09.25 |
기린이가 기획을 시작하는 당신을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듣고 (0) | 2021.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