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정량조사: 양적인 조사
언제 수행? 조사문제가 비교적 명확/ 일반적으로 기술, 인과관계조사
수집 방법: 양적이고 표준화된 방식 예)서베이법, 실험법, 관찰법 등
정형화된 질문을
다수에게 조사하여->조사대상 조사 기간이 길어지는 것이 대부분(그러나 온라인으로 수집되는 경우도 많아서 요즘에는 마냥 그렇진 않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교적 조사기간이 긴 경향이 있다.)
통계적으로 분석
정량조사의 장점: 일반화에 용이하다.
2. 정성조사
언제 수행? 조사 문제가 불명확할 때, 조사문제 규명을 위한 탐색 조사로 활용(그러나 반대로 정량조사 수행후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정성조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자료 수집: 비정형화된 방법을 주로 이용, 소수 대상 심층 분석 예)집단심층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FGI(FGD)), 개별심층면접법(In-Depth Interview=IDI) 등
조사결과를 일반화(소수대상, 비정형화된 질문, 주관적 방법의 분석)하긴 어렵다. 그러나 소수에 대한 심층분석(서술형 답)이 가능하다.
조사기간: 정량조사 대비 상대적으로 짧은 경향이 있으나 조사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정량조사와 정성조사: 조사의 양대산맥->상호보화적 사용하는 것이 필요.
'#전공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소비자조사 방법1 (0) | 2020.03.24 |
---|---|
[정성조사] 대표적인 정성조사 기법 (0) | 2020.03.19 |
[설득 커뮤니케이션] 설득커뮤니케이션 모델 (0) | 2020.02.06 |
범주화 모형 (0) | 2019.12.21 |
시각적 심상에 관하여 (0) | 201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