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성이란?
1. 고전경제학 “Cost -> Min. & Benefit -> Max.!”
2. 실존심리학 “개인의 주관적 세계내에서 선호의 내적 일관성”
3. 소비자학 ”경제적 동기/ 소비자 만족/ 선호의 내적 일관성/ 사회적 책임”
효율성이란?
경제학 원리와 관련이 있다. 즉, 투입 산출면에서 최소 희생으로 최대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시장의 효율성 정도를 평가하는 요소는 구매 후 소비자만족, 품질만족, 구매이득, 가격과 품질 간의 상관관계, 소비자의 정보 탐색 활동의 효율성 등이 있다.
개인적 차원에서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요소는 구매이득과 품질만족이다.
시장경제원리에 따르면 ”완전경쟁+완전정보 상태+합리적 소비자 의사결정->시장효율성 최대”
:소비시장 자체의 효율성과 소비자 스스로의 효율성이 만족돼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 어려움有
그렇다면 합리성과 효율성의 차이는 뭘까?
1. 합리성: 자신의 기호, 가치관 바탕 논리적이고 계획적 구매 이행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주관적 개념이다
핵심문제: 무엇을 원하는가? (선호관련)
2. 효율성: 구매 결과이후의 경제적 이득과 심리적 만족도 수반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객관적 개념이다.
핵심문제: 어느 것을 택할 것인가? (소비 기술관련)
소비자 의사결정과정에서의 합리성과 효율성
1. 합리성->문제인식 단계에서부터 고려해야 한다.
왜? 욕구는 무한하지만 자원은 한정적이기 때문.
이에 대한 인식을 갖고 실현가능한 구매인식 가져야 한다: 한정된 자원->욕구 우선순위설정.
2. 욕구 파악 후 정보 탐색 및 대안 평가 과정
합리성->논리적 선호 파악을 위한 과정
효율성->사용된 시간의 양에 의해 결정. 그러나 의사결정 효율성->구매결과 효율성X
3. 구매결과 이후
합리성평가: 욕구 충족 여부 평가
효율성평가: 적절한 자원 투입에 따라 얻은 경제적 이득 및 심리적 만족 평가
출처: 가치소비시대의 소비자의사결정, 교문사, 박명희|박명숙|제미경|박미혜|정주원|최경숙
'#전공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주화 모형 (0) | 2019.12.21 |
---|---|
시각적 심상에 관하여 (0) | 2019.12.15 |
소비자 정보의 진화 (0) | 2019.12.02 |
합리적 소비란? (0) | 2019.11.11 |
마케팅믹스에 중요한 요인 - 관여도 (0) | 2019.11.07 |